[출처: 촛불방송국 '레아'] |
유가족들은 일단 신임 총리의 조문으로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 기대하는 분위기였으나 참사 해결 방안에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실망과 우려를 동시에 드러냈다.
유가족을 만난 자리에서 정운찬 총리는 “그동안 유가족 들이 겪었을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제가 어찌 헤아릴 수 있겠느냐”며 유족들을 위로하고 “250일이 넘도록 장례도 치르지 못한 것에 대해 자연인으로서, 공직자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운찬 총리는 또 “유가족 문제를 비롯하여 사태를 하루 빨리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출처: 촛불방송국 '레아'] |
유가족 권명숙 여사는 “그동안 입대를 계속 미뤘던 큰 아들이 13일에 입대하는데 ‘테러리스트의 아들’이라는 누명을 벗지 못하고 입대해야 하는 하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입대 전에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고인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함께 자리에 배석한 주호영 특임장관은 ‘정부 부처 내에서 협의를 해보겠다’고 대답했다.
권명숙 여사는 “지금까지 정부로부터 사과나 대화 제의를 받은 적이 없었다. 불러주시기만 한다면 언제든 찾아뵙겠다”고 말하자 정운찬 총리는 “사안의 성격 상 중앙정부가 사태 해결의 주체로 직접 나서기는 어렵고, 지방정부를 비롯한 당사자들 간에 원만한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영숙 여사는 “서민들의 주거권과 생존권을 말살하는 재개발 정책이 잘못됐다. 저희들의 5대 요구안을 총리께서 직접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영덕 여사는 “용역이 무서워서 대화를 하고자 망루에 올랐는데 경찰에 의해 남편이 희생됐다. 총리께서 용산4구역 철거민들의 생존권을 보장해 달라”고 요청했다.
전재숙 여사도 “새 총리께서 잘못된 개발 정책을 바꿔 달라. 저희들은 돈을 많이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장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상가, 임대상가를 요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숙자 여사는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이 개발 때문에 살 수가 없다”며 재개발 정책의 전환을 호소했다.
김태연 범대위 상황실장은 “그동안 대화로 해결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봤지만, 정부 어느 부처도 책임지지 않았고 서울시도 ‘한계가 있다’며 책임을 회피했다”며 “총리가 오신 만큼, 빠른 시일 내에 허심탄회하게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유가족과 범대위를 초청해 달라. 그 과정에서 해결 방안을 얘기하자”고 제안했다.
유족과 범대위 관계자의 얘길을 들은 정운찬 총리는 “장기적으로 도시개발정책을 개정해 나가겠다”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 직접 나서기는 어렵지만 원만한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믿어 달라”고 말했다.
이어 김태연 상황실장은 “유가족, 범대위와 총리실이 직접 상황을 소통하고 협의할 수 있도록 한 분 정도 선임해 달라”며 요청했고, 정 총리는 “총리실에서 의논 후 연락 통로를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대답했다.
정운찬 총리는 대화를 마치고 유족들과 입대를 앞둔 이상흔 군, 용산4상공철대위원장 등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분향소를 떠났다.
용산 범대위는 이날 총리의 분향소 조문을 두고 “총리가 분향소를 방문하기 전에 사전 협의를 거친 뒤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했으나, 그러지 못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논평했다. 범대위는 또 “총리는 중앙정부가 용산 참사 해결의 직접적인 주체로 나서기는 힘들다는 입장으로 일관했다”면서 “정부가 당사자 간 대화를 주선하도록 노력하겠다고는 했지만 상당히 염려스러운 대목”이라고 우려는 나타냈다.
범대위는 이어 “오늘 총리는 총리실과 유가족, 범대위가 협의할 수 있도록 책임있는 담당자를 둘 것을 약속했다”면서 “범대위는 총리실과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전달하여 하루빨리 용산 참사를 해결하고 장례를 치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오전 10시에 유가족들과 용산 범대위 관계자 등 40여명은 용산참사 현장 분향소에서 상식을 드렸다. |
한편 정 총리가 떠난 후 오전 10시에 유가족들과 용산 범대위 관계자 등 40여명은 용산참사 현장 분향소에서 상식(上食, 상가에서 아침저녁으로 고인의 영좌 앞에 올리는 음식)을 드렸다. 상식을 드리고 절을 하는 유가족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울음을 터트렸다.
▲ 정운찬 총리가 떠난 후 오전 10시에 유가족들과 용산 범대위 관계자 등 40여명은 용산참사 현장 분향소에서 상식을 드렸다. 상식을 드리는 동안 유족들은 눈물을 터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