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포경위원회의 공식기록 중에서 일본이 한국을 강점하고 있던 191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에 의한 포경기록과 그 이후 1957년부터 1986년 상업포경 중단 직전까지 포경고래수 기록을 비교한 결과 한국바다에 존재했던 참고래, 혹등고래, 한국계귀신고래, 대왕고래 등 대형고래의 숫자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환경운동연합은 "포경기간 년수가 일치하지 않아 두 수를 직접 비교하기 곤란하지만 일제시기와 해방 이후의 포경기록을 볼 때 한국바다에서의 대형고래 별종은 일제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고 설명하고 "한국은 해방 이후 본격적인 상업포경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해방 후 포경기록에는 대형고래류가 매우 적다. 이는 일본이 대형고래류를 모두 잡아 멸종되어가자 소형고래류를 주요 타겟으로 한 것이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1965년 이후 잡힌 중형고래류인 밍크고래는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되었는데 1966년부터 1986년까지 무려 12,600마리가 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바다에서는 대형고래류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멸종상태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한국계 귀신고래의 경우 세계적으로도 100여 마리 밖에 남지 않으 것으로 알려져 지난해 56차 IWC회의 때 긴급히 보호되어야 한다는 결의문에 채택되기도 했다.
최예용 환경운동연합 고래보호특별위원회 실행위원장은 "일본의 고래 남획으로 인한 한국에서의 대형고래 멸종에 대해 일본은 반드시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하지만 일본은 책임은 고사하고 한국정부를 상업포경 찬성의 입장으로 만들기 위해 엄청난 로비를 하고 있다. 과학연구라는 이름으로 남극에 까지 가서 진행하고 있는 일본의 상업포경은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IWC연례회의가 열리고 있는 한국에는 122개국 51,161명의 사람들이 영상으로, 사진으로 포경을 반대하는 입장을 보내고 있으며, 미국 시민 15,000여 명이 포경반대에 서명한 결과가 오기도 하였다. 전 세계 사람들이 포경반대의 모습을 담아 보낸 영상과 사진은 21일 오후 8시 해양수산부 앞에서, 오후 9시 종각에서 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상영될 예정이다.
▲ 일본의 의한 한국에서의 대왕고래(Blue Whale, 길이20m, 179ton) 멸종관련 시기별 포경기록 (자료출처; 국제포경위원회IWC) [출처: 환경운동연합] |
▲ 일본의 의한 한국에서의 한국계귀신고래(Korean Grey Whale, 16m, 35ton) 멸종관련 시기별 포경기록(자료출처; 국제포경위원회 IWC) [출처: 환경운동연합] |
▲ 일본에 의한 한국에서의 혹등고래(Humback Whale, 16m,35ton) 멸종관련 시기별 포경기록(자료출처; 국제포경위원회 IWC) [출처: 환경운동연합] |
▲ 일본에 의한 한국에서의 참고래(Fin Whale, 26.8m,75ton) 멸종관련 시기별 포경기록(자료출처; 국제포경위원회 IWC) [출처: 환경운동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