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로자 파크스’같은 미국의 흑인들을 분노하게 하고 흑인 시민권운동을 시작하게 만든 것은 '투표를 못하게 하는 그 나라의 민주주의'였다. 미국식 민주주의 내에서 남부(the South)는 소위 '짐 크로(Jim Crow)'체제라고 해서 19세기 말부터의 흑인 배제의 민주주의였다. 말하자면 미국식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체제’(공공시설에서 흑백분리를 법제화하였고, 로자 파크스라는 용감한 여성은 버스 위에서 이에 저항했다). 물론 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이니 '보편참정권'이 보장됐고, 남부의 흑인들 역시 제도적으로는 투표권을 가졌다.
하지만 투표를 막는 온갖 장치들과 폭력 앞에서 흑인의 투표권은 1960년대 중반까지 유명무실했다. 백인 기업주들이 흑인 노동자들의 투표를 막기 위해 감금하기도 했고, 흑인의 유권자 명부를 탈취해서 땅에 파묻는 경우가 빈번했고, 그리고 심지어 살아있는 흑인을 죽은 사람으로 둔갑시키는 일이 다반사였다. 결국 흑인들은 평생 투표 한 번 못해보고 생을 마감하는 민주주의였다.
▲ 노들야학의 이라나 활동가가 10월26일 성북초등학교내 투표소 앞에서 피켓팅을 하고 있다. 계단이 있는 건물 2층에 투표소를 설치한데 대해 “사지를 들려서 올라가서 투표할 수 없다, 스스로 투표하게 해달라”며, 장애인 참정권을 주장했다. [출처: 트위터 @sadd420] |
그리고 일부는 진지하게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했다. 한 후보의 선거홍보 구호였던 "닥치고 투표"를 문제 삼으면서, 이런 말을 하기 전에 모두가 '투표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데 뭐라도 했느냐고, 그러고 나서 말하라고 일갈했다.
2교대로 하루 24시간 일하는 노동자들, 간병인들 간호사들, 그리고 지난 10월10일 파업에 들어간 인천의 삼화고속 노동자처럼 화장실 갈 새도 없이 장시간노동에 시달리는 운수노동자들, 이들 노동자들의 참정권은 현실과 그 현실을 버려두는 제도정치에 의해 제한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로자 파크스의 얘기를, 투표를 너무나 하고 싶었으나 하지 못한 한 여성흑인의 얘기로 만들고, 그리고 그를 한국의 투표독려운동에 사용하는 것은 정말 역사적인 맥락으로 볼 때 아니라고 본다. 다시 말하지만, 흑인시민권운동은 투표를 못하게 하는 미국의 민주주의를 문제 삼았고, 그에 대해 흑인들과 그에 연대하는 사람들이 로자 파크스 사건을 기폭제로 삼아서 이른바 60년대 흑인 시민권 운동을 시작했던 것이다.
또 한가지 환기하고 싶은 점은, 그때 미국의 60년대에도 '희망버스(hope bus)' 비슷한 것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북쪽, 즉 뉴욕 등 동부해안과 시카고 등 복동부 도시들의 학생운동가들과 대학생들은 긴 버스의 행렬로 남부의 흑인과 연대하기 위해 남쪽으로 남쪽으로 내려왔다. 미국 사람들은 이를 '뜨거운 여름(hot summer)'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 버스의 행렬은 ‘프리덤 라이드(자유의 동승: freedom ride)’ 이라고 불린다. 이 버스의 행렬은 애초 1947년에 이뤄진 대법원 판결, 즉 흑백분리 버스탑승정책의 위헌을 판결한 사건을 기념하여 북부에서 흑백혼성의 버스로 북에서 남으로 갔던 것이 최초의 기원이다. 근데 1961년 이를 다시 살려 북부의 학생운동은 캠퍼스마다 자유의 버스를 조직해 남부의 흑인과 연대하기로 했던 것이다, 수천 킬로미터를 달려 그들은 남부의 앨라배마, 미시시피, 아칸소 주 등에 도착했다. 그리고 그들 대학생들은 투표함과 유권자 명부를 지키고, 투표장에 가려는 흑인을 보호하고 흑인들과 함께 시위했다(당시에는 이 정도를 하는 것조차 끔찍한 결과를 불려오기도 했다. 흑인은 린치당하고, 일부는 심지어 교수형을 당하기도 했고, 그리고 백인 학생운동가들은 납치를 당하기도 하고 살해당했다).
자못 흥미롭지 않은가 말이다, 미국의 ‘자유의 버스’ 행렬이 학생운동과 흑인의 연대를 통해서 흑인 배제의 미국 민주주의에 대해 강하게 문제 제기했다면, 올 여름 부산 영도 한진중공업으로 향했던 ‘희망의 버스’는 노동과 이 사회의 연대로 노동배제의 한국 민주주의를 부각시켰다는 것. 그리고 그 때 로자 파크스가 있어 흑인시민권운동의 불씨를 당기고 사회적 연대를 조직하는 계기를 열었다면 한국에서는 김진숙이 노동의 시민권을 주장하고 이 사회의 노동연대를 생각하게 만들고 희망버스를 여는 계기가 됐다는 것. 비교는 이리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