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서 고 문중원 기수 시민대책위(시민대책위)와 문중원 열사 민주노총 대책위(열사대책위)는 28일 오전 11시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7일 발생한 고 문중원 기수 추모공간 강제철거 사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물으려 했다.
하지만 오전 11시 경 경찰 40여 명은 기자회견 장소로 이동하는 유가족 및 참가자들을 효자동 치안센터 앞에서 막아섰다.
![]() |
시민대책위와 열사대책위는 오전 11시 40분 경 상황보고를 통해 “강제철거 과정에서 다수의 여성 참가자들이 손발에 상처를 입는 등 폭력적인 일이 발생했었다”며 “이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진행하려 했으나 장소에 가는 것 자체를 막는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와 박근혜 정부가 다른 유일한 것은 청와대 100미터 앞에서 기자회견과 집회를 할 수 있다는 차이였으나 이 두 정권의 권위적인 태도는 차이가 없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고 문중원 기수 추모공간 폭력철거와 인권침해와 관련해)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다”며 “중앙정부가 용인하지 않고는 광화문 한복판에서 있을 수 없었던 일이었다. 폭력적인 철거용역의 행위에 대해 시정하라고 여기저기 비명과 함께 외쳤지만 경찰은 외면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폭력에 협조했다”고 지적했다.
참가자들은 기자회견 이후 108배를 진행하고, 청와대에 항의서한 제출과 대통령 면담 요구를 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경찰은 기자회견 이후 예정된 108배가 미신고 집회에 해당한다며 기자회견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시민대책위는 12시 경 청와대에 제출할 예정이었던 항의서한을 통해 정부에게 △지난 27일 문중원 추모공간 폭력철거와 인권침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 △100일이 되기 전에 고 문중원 기수의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100일 전에 장례를 치르기 위해선 국무총리실 산하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유서에 언급된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종로구청은 지난 27일 오전 7시 50분 경 경찰 12개 중대 및 종로구 건설관리과 직원과 용역 300여 명을 동원해 고 문중원 기수 대책위 농성장을 강제 철거했다. 이 과정에서 문중원 열사 부인인 오은주 씨와 장인인 오준식 씨를 포함한 7명이 부상을 당해 119로 후송됐으며 노동자 4명은 연행됐다.
시민대책위에 따르면 경찰이 당시 스크럼을 짜는 여성 참가자의 하체를 잡아당겨 속옷이 벗겨지는 등의 성추행도 발생했다. 박승렬 시민대책위 공동대표는 머리부상으로 인해 잠시 정신을 잃기도 했다. 현재 대책위 상황실 천막은 철거가 됐고, 분향소와 운구차는 남겨져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