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이철 철도공사 사장과 김천환 여객사업본부장에 대한 퇴진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조합원의 90.86%(2만 2천 846명)이 참여해 59.06%(1만 3천 493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철도노조는 “퇴진 투쟁이 한층 힘을 받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표 결과는 철도노조가 애초 “압도적인 가결”을 예상했던 것에 비해 다소 미진한 것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김형균 철도노조 교선실장은 “공사에서 이례적으로 전 조직적인 홍보를 통해 반대표를 조직한 것은 물론 선거를 방해하기 위해 업무협조조차 하지 않은 상황 등 다양한 압박이 있었다”라고 원인을 분석했다.
철도공사, 투표 다음 날 여론조사 “61.1% 투표 바람직하지 않아”...
철도노조, “여론조사 신빙성 없어”
철도공사는 투표결과 직후 보도자료를 내 “투표 다음날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투표에 참가한 조합원의 61.1%는 이번 투표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응답했다”라며 “더구나 노조가 밝힌 찬성률 59.06%는 노조 임원 불신임 의결정족수에도 훨씬 미치지 못한 결과”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 |
[출처: 철도노조] |
이에 대해 김형균 철도노조 교선실장은 “철도공사가 여론조사까지 하는 것은 과잉대응이다”라며 “사장퇴진 찬반투표가 사회적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치인 출신이고 또 다시 정치 공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이철 사장 입장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철도공사의 여론조사에 대해 김형균 교선실장은 “여론조사 결과가 비밀 무기명 투표로 진행된 철도노조의 찬반투표 결과보다 신빙성이 높다고 할 수 없다”라며 “여론조사 기관이 철도공사의 의뢰로 여론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조합원이나 직원에게 밝혔을 경우 진실을 제대로 말하기 어려웠을 것이며, 철도공사가 어떤 표본을 제시한지 모르는 표본조사는 신빙성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철도노조,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공격 막을 것”
이후 철도노조는 구체적 계획을 세워 행동에 옮긴다는 계획이다.
철도노조는 “이철 사장은 부임한 이래 요금인상, 적자 역 폐지, 1인 승무 강행, 차장승무 생략, 역외주화 및 차량정비업무 외주화 등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정책을 강행하였으며, 철도 계약직 노동자들에게 일상적인 차별과 탄압으로 한국철도공사를 ‘비정규직 탄압의 대표사업장’으로 낙인찍히게 하였다”라고 지적하고, “투표결과를 바탕으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공격에 대한 반대투쟁, 비정규직 차별시정과 개선투쟁, 해고자 복직과 원상회복투쟁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