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언론 참세상

화성, 어쩌다 사회주의

[이슈] 들어가며

메뉴보기: 클릭하세요. V

화성, 어쩌다 사회주의

① 들어가며
② 화성이주, 우주 사기와 현실 사이
③ 식민지 달과 냉전체제
④ 라이프 온 마스, 화성 사회주의


2050년, 화성 이주 100만 명? 이거 실화냐?

우주 개발은 경제적인 이익과 상업적인 동기로 진행돼 왔다. 초기에는 미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과 같은 국가 기관이 거액의 예산을 들여 우주 공간 개척에 착수하지만,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개척한 우주 공간을 민간 자본에 양도해 왔다. 이미 지구 궤도는 수천 개의 상업용 인공위성으로 가득 차 있으며, 국제우주정거장 (ISS)은 민간 우주 호텔로 대체될 예정이다. 우주여행을 상업화하고 상업 우주 운송을 확대함으로써 지구 궤도의 상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우주선 발사와 발사체 개발도 민간 우주 기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구 궤도의 상업화가 보여 주듯, 우주 탐사와 우주 진출은 우주 공간의 상업화, 시장화 및 자원을 획득해 식민지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렇지 않으면 우주 공간의 탐사와 진출은 인간의 거주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지 못한다. 경제적인 이익, 상업화 또는 수익을 고려할 때, 인간들이 화성에 이주할 필요성이나 이유는 없다. 만약 화성의 자원 획득이 목적이라면 무인 탐사선과 로봇으로 충분하다. 게다가 달의 자원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부족함을 느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화성은 필요하지 않다. SF드라마 ‘익스팬스’나 ‘기동전사 건담’에서처럼 소행성을 포획해 지구 궤도에 고정하고 자원을 획득하는 것이 화성 이주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이다. 자본주의 시각에서 화성으로의 인간 이주는 아직까지 경제적 동기가 없다.

화성 왕복 여행이나 화성 이주를 상업화하려면 주로 우주선을 타는 이주민들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이주할 사람을 찾지 못하면 화성 이주는 수익성 없는 사업이 될 것이다. 현재 지구 궤도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17일간 머무는 우주여행의 비용은 1인당 700억 원을 초과한다. 그런데 일론 머스크는 개인당 50만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화성 이주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류의 이상을 실현하는 큰 목표로서 무상이나 최소한의 비용으로 화성 이주를 실현한다는 주장은 SF 영화에 등장할 수 있는 이야기이지, 현실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일론 머스크가 주장하는 이주 비용은 거의 현실성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화성 이주와 화성 여행은 상업적인 측면에서 성공할 수 없으며, 우주 기업이나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주요 국가 중 아무도 이를 실제로 구현하고 현실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론 머스크와 같은 우주 기업의 CEO들은 “10만 명이 화성에 이주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최근에는 “10만 명씩 20년 동안 100만 명을 이주시킬 수 있다”며 화성 붐을 일으키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이러한 과장된 주장엔 우주 개발과 화성 붐의 인기를 이용해 계속해서 투자를 유치하려는 의도가 있다. 우주 기업은 여전히 지구 궤도의 상업화와 달의 식민지화를 위해 큰 비용을 지불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받아야 한다. 팰컨 로켓의 회수와 재사용과 같은 기술적 진보를 통해 화성 이주의 가능성을 단계적으로 입증하는 방법이 투자를 확보하는 데 가장 적합하겠지만,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성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주 개발의 인기와 관심을 지속시키는 방법으로 나온 것이 바로 ‘화성 이주’다. 현재의 ‘화성 이주 계획’은 실제로는 달의 식민지화를 위한 ‘투자 설명회’의 흥행 이벤트에 불과하다.

한편, 이러한 현실은 화성 이주가 과학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인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주 기업 CEO들의 이야기는 투자를 많이 하면 여러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헛소리만은 아니다. 그러나 화성까지 가기 위해 그렇게 많은 돈을 쓰는 대신에, 그 돈을 당장 지구의 기후 위기 대응에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결국, 기술적인 문제조차도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판단과 선택의 문제이다. 우주 개척론자들이 10만 명, 100만 명 이주 등 허황돼 보이는 이야기를 키우며 지속하는 것도 그렇게 해서 투자가 계속되면 언젠가는 화성 이주가 상업적인 시장이 되고, 그러면 자신의 기업이 화성 이주 사업을 본격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성 이주의 가능성과 조건을 판단하는 데는 화성까지 갈 수 있는지 없는지 하는 단순한 기술적인 문제나,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하는 1차원적인 판단을 넘어서야 한다. 현재의 화성 이주 계획은 기술결정론적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 이보다 지구의 기후 위기 대응과 대안 행성에 대한 필요성, 화성의 경제적 전망, 지구와의 관계 및 정치적 조건과 같은 사회적인 조건과 전망을 따져 화성 이주의 가능성을 판단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화성 이주의 사회적 조건과 정치적 전망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