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언론 참세상

꽃집에서 일해야 했던 현대모비스 하청노동자들

[기고] 비정규직 노조가입 확대, ‘갈등’이 사라진 자리에 ‘단결’이 남아

메뉴보기: 클릭하세요. V

2003년 10월 26일 근로복지공단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한 노동자가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며 자신의 몸에 불을 당겼다. 바로 이용석 열사다. 이 날을 잊을 수 없었던 노동자들은 해마다 전국비정규노동자대회를 열고 거리로 나와 열사의 뜻을 기억하고 알렸다.

비정규직없는충북만들기운동본부(이하 비정규운동본부)도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비정규 철폐 투쟁주간’을 선포하고, 지역 비정규노동자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올해는 비정규노동자들의 노조 할 권리, 공공부문 비정규노동자들의 ‘제대로 된 정규직 전환’ 투쟁을 지역사회에 알려내고, 연대의 힘을 모으려고 한다. 여기에 정부의 노동법 개악 공세로 묻히고 있는 ‘노조법 2조 전면 제개정’ 문제도 함께 이야기하려고 한다.

올해 충북지역 비정규노동자 투쟁은 민간위탁 노동자들, 특히 폐기물수집운반노동자들이 중심에 있었다. 여기에 비정규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적극적으로 만들면서 차별의 일터를 바꾸는 활동도 다양하게 펼쳤다. 대부분이 하청, 용역, 민간위탁 등 간접고용 노동자들이었다. 작은사업장 노동자들의 권리찾기 운동도 본격화됐다. 이번 기고를 통해 이들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려 한다. 차별의 일터를 바꾸기 위한 비정규노동자들의 외침과 행동, 이 노동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자.

- 비정규직없는충북만들기운동본부


확대되는 비정규노동자들의 노조 가입

금속노조가 만나는 비정규노동자들은 대부분 하청노동자들이다. 지난 1년 동안 금속노조 대전충북지부에 3곳의 비정규 사업장이 가입했다. 노조 가입문의도 계속 늘고 있다. 과거 같으면 해고를 각오하고 노조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런 부담도 줄었다. 지난 20년 동안 지속된 비정규노동자투쟁의 결과다. 하지만 불안한 고용, 상식이하의 갑질, 일상적인 차별, 저임금 등 비정규노동자들의 현장은 여전하다. 달라진 게 있다면, 하청노동자들이 당당하게 노조 할 권리를 외치며 나서고 있다는 것. 권리찾기에 나선 하청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하려 한다.

2019년 6월 12일 모비스 오창물류공장에서 일하는 하청노동자 100명이 금속노조 대전충북지부에 가입했다. 이들이 하는 일은 현대모비스 물류센타에서 자동차 부품이 들어오면 충청지역 대리점으로 출고하는 것이다. 공장은 모비스 공장인데 작업은 모두 하청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하청업체가 하나로 통일됐다. 소문에는 불법파견의 소지를 없애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원청은 모비스고, 일하는 노동자들은 모두 하청노동자라는 사실이다.

[출처: 비정규직없는충북만들기운동본부]

꽃집에서 일해야 승진이 되는 회사

노조 문을 두드린 이유를 물었다. 윤기선 지회장은 오창 물류공장에서 일어났던 갑질 사례를 들었다.

“이사였던 황00은 정말 우리를 지 맘대로 부렸습니다. 황00이사 부인이 꽃집을 운영했는데요. 우리는 근무시간에도 꽃집 매장에 불려가 허드렛일을 했어요. 그 일을 잘하면 직급이 올라갔습니다. 미치고 환장하는 일이죠”

첫 상담에서 이 얘기를 들었을 때 ‘그래도 원청이 모비스고 대기업 하청인데 그런 일이 가능할까?’ 믿기 어려웠다. 하지만 사실이었다. 승진 기준도 없었고, 조직운영도 엉망이었다. 노동자들이 이것을 참고 견뎠다는 게 신기했다.

“10년을 일해도 황00이사 맘에 들지 않으면 승진을 할 수 없었어요. 같이 일하는 동료들끼리 누구는 꽃집에서 일해서 승진하고, 누구는 찍혀서 말도 못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서 노조 만들자고 마음을 먹고 금속노조를 찾아 갔습니다”

사람들은 대기업 하청도 ‘대공장 노동자’라고 말한다. 그러나 현실은 ‘최저임금 노동자’에 불과하다.

“저는 200만 원정도 받습니다. 10년 근무하는 동안 임금은 3~40만원 올랐습니다. 그냥 최저임금 주는 겁니다. 혼자 사는 사람은 다닐만하죠. 하지만 결혼하면 맞벌이가 아니고서는 살기가 어렵습니다. 우리 동료들은 대부분 3~40대입니다. 다들 자녀가 있죠. 이 월급으로는 생활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직장을 포기하지 못하는 건 옮겨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죠. 그래도 여기는 연간 300만 원 정도 성과금이 나옵니다.”

노동자들은 저임금 인생도 벗어나고 싶었다. 하루에 8시간 일하면, 최소한 허리띠 졸라맬 걱정은 없는 생활임금이라는 걸 받고 싶었다. 한국의 경제력이 세계 12위라는데, 저임금 굴레에서 벗어나자는 요구가 과욕은 아니지 않는가!

고용불안 문제도 심각했다. 하청은 업체가 자주 변경된다. 하청노동자들에게 업체 변경은 고용위협으로 다가온다. 이번에는 물류 하청업체를 하나로 통합해버린다는 얘기가 돌았다. 고용불안이 엄습해왔다.

“사실 노조를 만들면 바로 해고될까 하는 두려움도 있었어요. 그런데 노조 만들고 고용승계 보장받은 곳들이 꽤 있더라구요. 두려움이 사라지고 무조건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만 들었어요”

직장 상사의 갑질, 저임금, 고용불안 등 하청노동자들이 겪는 문제는 대동소이하다. 그럼에도 노조 문을 쉽게 두드릴 수 없었던 것은 ‘노조 만들면 해고(계약해지)’라는 원청의 노조탄압이 만연해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십 수 년 동안 수많은 하청노동자들이 해고를 당하면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노조 할 권리’. 그 투쟁의 역사가 있었기에, 이제 하청노동자들은 자신감을 갖고 노조 문을 두드린다. 물론 원청들의 하청노조 탄압은 여전히 거세지만.

‘갈등’이 사라진 자리를 ‘단결’로 채웠다.

노조를 설립하고 나니 현장은 빠르게 변해갔다.

“이제 관리직 눈치를 보지 않아 살 것 같아요. 황00이사는 집으로 갔어요(웃음). 이제 울며 겨자 먹기로 꽃집에 불려가는 일은 없어졌습니다”

“사실 꽃집에서 일을 한 조합원과 일을 하지 않은 조합원간에 늘 갈등이 있었어요. 그런데 황이사가 사라지고 나서부터 갈등도 사라졌습니다. 대신 노조로 뭉치기 시작했죠”


노조 만든 지 4개월 만에 임금을 제외한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지금은 임금교섭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보다 먼저 노조를 만든 물류센터와 부품공장들이 있어서 단체협약은 어렵지 않았어요. 하청노동자들에게 적용되는 단협이 동일합니다. 문제는 임금인데요. 다른 부품업체보다 우리가 2~30만원 낮아요. 업체가 중간에서 가로채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죠. 부족한 임금은 되찾아야 와야죠”

지난 10월 21일. 노동자들은 ‘파업투쟁 승리 전진대회’를 열었다. 투쟁사에 나선 윤기선 지회장은 “우리는 함께 있을 때 아무것도 두려울 게 없습니다. 혹독하고도 냉혹한 현실이 우리 앞을 가로 막고 있지만, 모두 함께 손잡고 그 벽을 훌쩍 뛰어넘어봅시다. 우리의 권리를 위해 투쟁하겠습니다.”라며 결기를 드러냈다. 갈등이 사라진 자리를 단결로 채운 노동자의 자신감이 드러나는 우렁찬 목소리였다.

“노조는 우리에게 큰 힘이 되고 있어요. 임금인상투쟁은 단순히 임금 얼마 올렸다는 것 보다 투쟁을 통해 조합원들은 스스로 자존감을 높여내고, 노조의 주인이 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배웠습니다. 배운 대로 실천하려구요”

본격적인 싸움은 지금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