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주지진 1년을 맞아 울산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9월 14일 울산시민연대교육관에서 ‘신고리 5,6호기는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출처: 용석록] |
9월 14일 윤종오, 김종훈 국회의원과 새민중정당 울산시당, 신고리5·6호기백지화울산시민운동본부가 ‘경주지진 1년, 신고리5,6호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울산시민연대교육관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김성욱 박사(지질학박사, ㈜지아이지반연구소 대표)는 토론에 앞선 강연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재검토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김성욱 박사는 “역사지진 목록을 보면 고리지역 최대지진은 7.72다. 하지만 국내 원전은 6.5~7.0으로 내진설계가 돼 있다”고 지적했다. 역사지진 기록에 따르면, 진도 8 이상은 15회, 진도 5 이상이 440회 발생했었다. 주기적으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김 박사는 또 “고리와 월성지역 원전부지는 활성단층대이기 때문에 (핵발전소 건설 계획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우리나라 활성단층은 1990년 이후 보고되기 시작했고, 초기 양산단층 일원에서 활성단층이 집중적으로 발견됐다. 또 이후 분포 범위가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 등으로 확대됐다. 김성욱 박사는 “최근 60여 개의 활성단층이 발표됐지만, 이는 일부에 불과하다”고 했다.
또 지난해 일어난 다량의 여진을 보더라도 핵발전에 안전한 지역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토론자로 나선 홍인수 풀뿌리주민연대 사무처장은 600회 이상의 여진을 지적하며 “이것은 지진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이냐”고 질문했는데 김 박사는 “여진이 많이 났다고 해서 본진의 에너지가 소별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본진의 에너지가 대규모로 방출돼야 하는데 여진이 많은 것이 좋은 징후는 아니다”라는 것이다.
![]() |
▲ 김성욱 박사가 토론회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출처: 용석록] |
방사능 사고에 따른 대피 조치가 부재하다는 점도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됐다.
황혜주 신고리5,6호기백지화울산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는 “활성단층대 위에 핵발전소가 있는데 대피시설도 없고, 추가핵발전소를 짓자고 하는 주장에 울산시민으로서 갑갑하다”며 핵발전소 사고 시 대처방법에 관해 물었다.
이에 김 박사는 “우리나라는 방사능 사고가 나도 시민들이 대피할 곳이 없다”고 지적했다. 구호소가 대부분 학교로 지정돼 있지만 학교 건물은 방사능을 막아주지 못하고, 방사능 누출 시 식량이나 식수 등 최소한의 물품도 공급하기 어려운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만약 방사능이 누출되면 물품 전달도 어려울 것이며 수용인원에게 공급할 최소한의 식수, 의약품, 쌀 등이 사전에 구비돼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신규원전 짓지 말자고 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원전에 대한 대처 방안을 요구하는 것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한편, 김형근 토론회 진행자(신고리5,6호기백지화울산시민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는 후쿠시마와 같은 쓰나미가 밀려올 때 방벽을 쌓는 것이 실효성 있는 대처방법인가에 관해 물었다.
김 박사는 “고리지역에 쌓은 방벽은 방파제 정도에 불과하다”며, “방벽은 높이와 길이, 두께를 지진해일에 대처할 만큼 쌓아야 하는데 비용면에서 효용성이 떨어지고, 방벽으로 인한 또 다른 재난을 부를 수도 있다”고 했다.
김 박사는 또 “사고시 대응방안 없는 원전이 주거지역 가까이에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실효성 있는 사고 대응 방안을 적극적으로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