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와 도시가스 강북5센터 검침원들은 2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임금 떼어먹는 도시가스 고객센터 규탄! 묵인 방조하는 서울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강북5센터 검침원들은 ‘노동존중특별시’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열악한 노동조건과 임금 차별 등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강북 5센터는 식대비 명복으로 내근직에겐 한 달 12만 원, 바깥 활동을 하는 검침원들에겐 6만 원을 지급하는 등 직종별 차별을 두고 있다. 급여 착복도 이뤄지고 있었다. 서울시가 노동자들에게 지급하라고 책정한 임금은 2015년 151만 8,231원, 지난해엔 163만 2,174원이었다. 하지만 강북5센터가 지급한 임금(1-5년차 동일)은 2015년 142만 1,000원, 지난해엔 144만 5,483원 선이다. 임금 수준도 최저임금에 가깝지만, 서울시가 산정한 ‘지급수수료’와도 18~24만 원 가량 상당한 차이가 있다.
심지어 현물로 임금을 공제하는 등의 위법성 논란도 일고 있다. 실제로 강북5센터는 2014년과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명절, 근로자의 날 선물을 제공한 뒤 이를 임금에서 공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근로기준법 43조에는 임금은 통화로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르면 관련 사업을 허가해주는 곳도, 임금과 업무량을 결정하는 곳도 서울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14년부터 <서울시 도시가스 고객센터 지급수수료 산정>이라는 용역보고서를 제출하고 있다. 용역보고서는 서울시 각 고객센터의 적정인원, 적정임금 등을 책정해 제시하고 있다. 각 센터별로 적정임금을 지급하고 있는지 매달 보고받는 체계도 갖추고 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검침원 나현숙 씨는 “회사는 노조 한다는 이유로 각종 징계를 남발하고,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 가장 화가 나는 것은 식대로 차별하는 일”이라며 “동일한 식대를 제공하고, 서울시에서 책정한 월급도 제대로 달라고 요구했지만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서울시는 권한 밖의 일이라는 말만 되풀이할 뿐 해결 논의는 하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생활임금’ ‘노동존중’을 강조해 온 서울시의 기만적인 태도에 대한 분노도 높았다. 하해성 노무사는 “박원순 시장은 생활임금을 도입했다며 자랑을 하고 다니지만, 정작 생활임금에 대한 가치기준은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 인기 영합적인 그럴듯한 말 뿐”이라며 “도시가스 요금을 낮추다보니 거기 종사하는 사람의 생활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심지어 안전 매니저와 검침 노동자 임금을 줄여 관리자, 행정직에 더 주고 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분배에는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라고 비판했다.
박명석 서경지부 지부장 역시 “서울시는 자신들이 만들어 높은 임금표에 따라 노동현장이 지켜지고 있는지를 전혀 점검하지 않는다. 자신들은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왜 책임 없는 자가 이런 기준을 만들어 놓느냐”며 “노동인권을 존중하겠다는 서울시의 이야기들이 모두 허울뿐이라는 것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한편 참가자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도시가스사업법에 의거해 사업권을 허가해주는 곳도, 우리에게 지급되는 임금을 결정하는 곳도, 한 달에 얼마만큼의 일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곳도 바로 서울시”라며 “우리에게 강제되는 부당한 임금 착복을 멈추고, 시민들의 공공요금이 올바른 곳에 정당히 쓰이도록 서울시는 책임을 다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