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8곳이 지난 2006년부터 2011년도까지 가습기 살균제 1,223개를 구매해 사용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가습기 특위 이훈 더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8개 종합병원이 약 6년간 사용한 가습기 살균제는 총 1,223개다. 제품별로는 애경가습기메이트가 822개(SK케미칼이 제조-애경산업 판매), 옥시싹싹과가습기청정제(한빛화학 제조-옥시 판매 / 용마산업사 제조-홈플러스 판매)가 401개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강서구에 2개(M병원, W병원), 부산 동래구에 1개(K병원), 경기 성남 분당구 1개(K병원), 안양 만안구 1개(S병원), 춘천 1개(S병원), 강릉 1개 병원(A병원) 등이다.
가장 많은 양을 사용한 병원은 부산 동래구 소재 K 종합병원이다. 이 병원에서는 지난 4년간 396개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 K 병원은 전량이 폐 손상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진 PHMG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습기 살균제로 나타났다. 서울 강서구 M 병원은 6년간 388개, 성남 분당구 K 병원이 4년간 290개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PHMG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을 사용한 병원은 총 2곳으로 나타났다.
이들 병원은 가습기 살균제를 병동 및 외래, 물리치료실, 의무기록실, 특수 검사실 등에서 사용했다.
이번 조사는 이훈 의원의 요청으로 보건복지부가 각 지자체를 통해 해당 지역 종합병원에 가습기살균제 사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취합한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전국 총 337개 종합병원에 관련 공문을 보내 조사한 결과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고 응답한 병원은 8곳이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보내온 병원들이 실제로 사용을 안 한 것인지, 제품 구매 이력을 찾지 못한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이 의원은 “전국 종합병원의 사용실태 조사는 피해자의 적극적인 구제를 위해 필요한 조치이기 때문에 실시했다"라며 “환경부나 보건복지부 등이 2011년 가습기 살균제가 피해 원인으로 밝혀졌을 당시 병원이나 어린이집, 요양원, 산후조리원 등 가습기를 주로 사용하는 기관의 전수 조사를 했어야 하는데도 하지 않아 피해자 구제에 구멍이 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환경부와 보건복지부가 적극적인 피해자 구제를 위해 가습기 사용빈도가 높을 기관이나 사용처를 찾아 피해우려가 있는 경로상의 피해자 구제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