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언론 참세상

광명시의 장애인 인권 무시, "더민주가 책임져라!”

경기장차연, 양기대 광명시장당의 사과와 합의 이행 요구
광명시청 앞 농성 4일차인 31일, 더민주 경기도당사 점거

메뉴보기: 클릭하세요. V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경기장차연)가 더불어민주당(더민주) 경기도당 사무실을 점거했다. 광명시가 '장애인 자립생활 보장 합의안' 이행을 요구하던 장애인 활동가들을 폭력적으로 진압한 사건에 대해 양기대 광명시장과 양 시장을 공천한 더불어민주당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다.

지난 2013년, 양기대 광명시장은 2016년까지 특별교통수단 법정대수 200% 도입 등 경기장차연이 제안한 장애인 자립생활 보장 요구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약속한 2016년이 되었음에도, 광명시는 '올해는 증차 계획이 없고, 내년에 경차로 도입할 예정'이라는 답변만 내놓았다.

[출처: 경기장차연]

경기장차연은 합의 사항 점검을 위해 광명시와 면담을 하기로 했으나, 면담날인 28일에 광명시는 시청 입구는 물론 경사로까지 차벽으로 막았다. 이에 항의하는 경기장차연 활동가 다섯 명이 강제 연행되기도 했으며, 한 활동가는 휠체어와 분리된 채 사지가 들려 옮겨지기도 하는 등 폭력적 진압의 대상이 되었다.

경기장차연은 광명시의 심각한 인권침해와 약속 불이행을 강하게 비판하며, 양기대 광명시장에게 이번 사태에 대한 사과와 책임있는 합의안 이행을 촉구했다. 경기장차연은 28일부터 8월 1일 현재까지 5일째 광명시청 앞에서 점거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장차연은 양 시장이 속한 더민주당에도 책임을 물으며 31일 오후, 더민주 경기도당을 점거했다. 경기장차연은 "더민주 경기도당은 양 시장을 공천한 장본인"이라며 "양 시장의 인권침해 행위와 약속 불이행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경기장차연은 "특히 더민주는 이미 2014년 경기도지사 선거 당시 장애인 이동권 등 장애인차별철폐 10대 요구안 관련 사항을 합의하고 정책 협약을 한 바 있다. 공당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공당으로써의 존재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점거 첫 날에는 더민주 경기도당 사무실 직원들과 경기장차연 활동가들 간에 실랑이가 오가기도 했으나, 문경희 더민주 의원(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장)이 1일 오후 경기도당사를 방문하여 경기장차연 측과 면담을 가지면서 갈등은 일단락되었다.

면담 자리에서 경기장차연은 △양 시장과 더민주의 사과와 합의안 이행 △장애인차별철폐 10대 요구안 수용 및 상시 논의 체계 구성 등을 요구했다. 특히,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 16개 시에 더민주 소속 시장들이 있는 점을 들어 당 차원의 정책 방향 수립을 요구했다. 이에 문 의원은 경기장차연의 요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말

최한별 기자는 비마이너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비마이너에도 게재됩니다. 참세상은 필자가 직접 쓴 글에 한해 동시게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