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진보정치(이치열 기자)] |
민주노동당 경선후보인 권영길, 노회찬, 심상정 후보는 24일 오후 백범기념관에서 제2차 종합토론회를 열고, 정치·민생·통일 분야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 6월부터 총 8회에 걸쳐 진행했던 지역 순회 토론회에서 논쟁이 됐던 쟁점들을 정리하고, 각 후보의 정책과 공약을 대중적으로 알려내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권영길 후보는 정책 제시보다는 집권 가능성을 부각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사실 권-노-심 간 정책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후보가 돼야 집권할 수 있느냐다”라며 ‘100만 민중대회’를 열어 대중운동 선거를 치르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권영길 후보는 다른 두 후보로부터 “대중을 동원 대상으로 여기는 일방적이고 낡은 운동방식(노회찬)”, “똑같은 얼굴, 똑같은 내용으로는 승리할 수 없다(심상정)”는 공격을 받기도 했다.
노회찬-심상정 후보는 당내 좌파를 지지층으로 두고 경쟁 관계에 놓여있는 만큼 치열한 정책 공방을 벌였다. 양 후보 간 토론은 노회찬 후보가 심상정 후보의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상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심상정 후보가 이에 반박하면서 불붙었다.
“한미FTA 반대하며 ‘한중일 경제공동체’ 수립은 모순”
노회찬 후보는 심상정 후보의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상에 대해 “패권주의적인 블록 경제이며, 기존 주류경제학적 발상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심상정 후보는 핵심 공약인 ‘세 박자 경제론’ 중 ‘동아시아 호혜경제론’에서, 달러통화체제를 대신하는 아시아통화체제를 구축하고 호혜적 분업체제를 기반으로 미국형 FTA전략에 대항하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건설을 주장한 바 있다.
노회찬 후보는 “세 박자 경제론을 사실상 설계한 정태인 전 청와대 비서관은 한미FTA에는 반대하면서 한중FTA나 한일FTA에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며 “한미FTA에는 반대하면서 한중일 경제공동체를 수립한다는 것 자체가 논리적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또 “동아시아 경제공동체는 한국 대자본의 입장에서 (동아시아 내) 상대적인 우위성을 가지고 주변 지역으로 진출해서 자본을 재창출하려는 구상에 다름 아니다”며 “서민 입장에서 서민 정권을 만들려는 민주노동당의 입장에서 과연 바람직한 정책인가”라고 공세를 가했다.
이에 심상정 후보는 “호혜적 경제협력을 말하는 데 FTA나 수출 중심 무역체계를 먼저 떠올리는 것이야말로 주류경제학적 사고”라고 반박하며 “남미 좌파 국가들이 추진하는 미주볼리바르대안(ALBA)에서도 인민무역협정을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회찬 후보는 “ALBA는 대단히 유사한 민족적 문화적 동질성에 기반하고 있다”며 “문화, 역사, 경제적으로 차이가 있는 한중일이 중심이 되어 경제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은 호혜협력이나 역내 계층차별 해소와는 별개의 ‘괴물’을 만들 수 있다”고 재반박했다.
노회찬 후보는 “한국 외환보유고는 세계 5위로, (외환보유고가) 작아서 문제가 아니다. 말레이시아처럼 악성 투기자본을 규제해야 한다”며 “투기자본 론스타에 대해 면죄부성 발언을 한 노무현 정부를 갈아치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양 후보는 심상정 후보의 ‘택지국유화’ 공약에 대해서도 격렬한 토론을 벌였다. “심상정 후보의 택지국유화 정책은 더 비싼 값의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는 노회찬 후보의 지적에 대해 심상정 후보는 “택지국유화의 핵심은 집값 거품을 빼는 것이며 투기적 이익을 보장하는 정책이 아니다”라고 맞서, 이에 대해서는 논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