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 세우기'라는 부제를 가진 이번 ‘남미민중정상회의’는 28, 29일(현지시간)에 열리는 33차 MERCOSUR(메르코수르:남미공동시장) 정상회담에 민중들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영역과 국가를 넘어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정상회담은 베네수엘라와 볼리비아 등이 주도하고 있는 ALBA(볼리바르 미주대안)이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열리는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MERCOSUR, 베네수엘라 가입으로 긴장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등 5개국이 회원국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칠레와 볼리비아가 MERCOSUR(남미공동시장)의 준회원국으로 참가하고 있다.
![]() |
▲ MERCOSUR 상징 |
MERCOSUR(남미공동시장)은 1991년부터 추진되어 1995년 1월1일부터 지역 내 관세를 철폐하면서 지역 내 자유무역과 경제협력을 강화해 온 경제공동체다. 그러나 2006년 7월 베네수엘라가 정회원국으로 가입하고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이 준회원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할 의사를 보이면서 MERCOSUR내의 긴장이 변화로 이어질 것인가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1월 열린 정상회의에서 베네수엘라는 남미의 경제가 황폐화된 원인으로 미국의 신자유주의를 지목하고 “메르코수르의 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참가국 정상들도 ‘경제를 넘어선’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화답한 바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에너지 문제가 핵심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베네수엘라와 볼리비아는 나미 지역에 가스 및 오일 수송관 건설을 촉진하고 있으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에너지 대량 생산 국가이기 때문이다.
지역 주권과 연대를 향해
![]() |
▲ 남미민중정상회의 상징 |
'남미민중정상회의'는 1998년 칠레, 2001년 퀘벡, 그리고 FTAA에 실질적 사망선고를 내렸던 2005년 마르델 플라타, 2006년 코르도바와 코차밤바에서 열린 ‘민중정상회의’의 역사를 잇고 있다. ‘남미민중정상회의’는 다양한 부분간의 연대를 강화하고 지역의 주권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확보할 것인가 방안을 토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파라과이 사회운동 단체들의 주도로 여린 이번 ‘남미민중정상회의’에서는 농업, 군사화, 반테러법, 에너지와 개발, 이주와 노동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된다.
28일에는 파라과이 현지 단체들이 ‘숲과물은 파라과의 민중의 것이다’라는 플랑을 들고 다국적 기업의 사유화를 비난하는 집회를 가졌다. 29일에는 참가자들이 다양한 행진을 펼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