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4대강 사업은 졸속임에 틀림없지요. 큰빗이끼벌레에 대한 지나친 과장이 있다고 해서 4대강이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요. 솔직히 말하자면 4대강사업 꼴이 보기싫은거죠. 그리고 이 벌레가 예전에도 이렇게 눈에 띄게 나타난적이 있었나 생각해 보면 4대강에서 어찌되었든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 만큼은 사실아닙니까? 진보냐 아니냐를 떠나서 진실을 안보시려는 것 같군요. 과장은 되었을 수 있으나, 4대강이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임은 가리지마시길
몬가 논리적으로 보이는 글이 지만 저 벌레가 사대강 이후 더 많이 생기고 그 원인이 오염이라는게 알리고 싶어 하는 핵심 이였던것으로 압니다. 사대강 사업이후 늘어났다면 그건 문제가 있는것은 당연하고요. 사대강 사업 왜 했을 까요.. 위 대한 쥐 각하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대국민 사기극으로한 사업 아닌가요.
잘 보았습니다. 간만에 참세상다운 글이었습니다.
이렇게 논리적으로 이념을 배제한 글을 보니 인간이
자신의 잣대에 맞추어 현상을 외곡하는 모습이 한컨으로 읽혀집니다.
그래도 4대강 사업은 졸속임에 틀림없지요. 큰빗이끼벌레에 대한 지나친 과장이 있다고 해서 4대강이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요. 솔직히 말하자면 4대강사업 꼴이 보기싫은거죠. 그리고 이 벌레가 예전에도 이렇게 눈에 띄게 나타난적이 있었나 생각해 보면 4대강에서 어찌되었든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 만큼은 사실아닙니까? 진보냐 아니냐를 떠나서 진실을 안보시려는 것 같군요. 과장은 되었을 수 있으나, 4대강이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임은 가리지마시길
80.90년도에경기도광주에서낚시터를운영.처음몇년간은물이깨끗해서큰이끼벌래가없었는데5~6년하다보니 고인물로인한오염 낚시밥등물이오염되면서큰이끼벌래가생겻다 요즘사대강에서문제되는큰이끼벌래의출현은 물의오염의다름아니다
몬가 논리적으로 보이는 글이 지만 저 벌레가 사대강 이후 더 많이 생기고 그 원인이 오염이라는게 알리고 싶어 하는 핵심 이였던것으로 압니다. 사대강 사업이후 늘어났다면 그건 문제가 있는것은 당연하고요. 사대강 사업 왜 했을 까요.. 위 대한 쥐 각하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대국민 사기극으로한 사업 아닌가요.
이글은 4대강사업이 잘되었다는 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