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의견은 미 부시와 같은 통일관이고 국내 극우세력의 생각과 같은 통일관이며 기회주의적인 통일관이다.
부시는 이북에 대하여 체제보장을 해준다, 인권문제, 민주주의를 해결하라고 한다. 체제보장이란 무엇인가? 북의 사회주의 체제를 보장해준다는 것이 아니라 북정권이 미국식의 정치제도와 신자유주의 정책을 벌이면 정권의 안정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둘째, 우리민족의 통일 역사를 전혀 모르거나 반영하고 있지 않다. 필자는 분명히 90년대 범민족대회등에 참여한 적이 없는것 같다. 남과 북은 1948년 4월 남북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를 평양에서 가졌으며 미국의 남한단독선거에 반대하는 결의를 하였으며 5월의 단독선거를 파탄내기위한 투쟁을 전개하고 8월까지 인민대표자대의원선거를 남과 북에서 진행하였다. 물론 남에서는 어렵게 비밀선거등이 치뤼졌으나(제주도등은 압도적 다수의 민중이 참여함) 그해 8월 해주에서 전국대의원대회를 진행한 사실이 있다. 위의 남과 북이 45년부터 서로의 경쟁을 하였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전쟁이후에도, 4.19에서 5.16사이의 통일운동, 70년대와 80년대의 통일운동은 대중적이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힘차게 진행되었다. 당국자간의 7.4공동선언도 있었다.
90년대 중반 민화협으로 들어간 패배주의 세력들도 있지만 한총련등은 전혀 흔들리지 않고, 정권에 굴하지 않으며 통일운동의 길을 올바르게 개척하여 왔다. 범민련은 아직도 건재하다. 현재의 통일운동은 교류 사업, 미군철수 사업, 국가보안법 철폐사업등 다양하다. 물론 교류운동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있지만. 또 민주노총등은 범민련에 가입하고 있지 않으며 교류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정권의 체제내화에 참여하는 배신적 행위를 하지 않았다. 90년대 이도 저도 아니고 아예 참석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필자는 통일을 가로막는 세력을 마치 남과 북의 지배세력들이라고 보는것 같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베트남을 보더라도 중국을 보더라도 미국등 제국주의 국가들이 한 귀퉁이를 타고 앉아 통일을 방해하고 전쟁을 부추기고 있었다. 또 해당 민족은 단결된 힘으로 미국을 몰아내었다.
필자에게 묻는다. 통일은 남북 지배층의 소멸로 부터 시작된다고 하였는데 남과 북의 지배층이 통일을 가로막아서 그러한가요?
통일의 대상, 우리가 극복해야할 세력들, 60여년간의 역사등을 잘 알아야 한다. 무조건 사회주의니 남북 지배층의 소멸이니 그러면 안된다.
실력이 없으면 기회주의이다. 무조건 원칙만 앞세워도 기회주의이다.
필자의 통일운동은 부시와 같은 기회주의적 통일관이며 몰역사적인 몰 계급적인 통일관이다.
그리고 편집팀에게 부탁한다.
이를 많이 보는 노동자들이 곡해할 소지가 많으니 통일운동을 오래동안 하여왔던 분들의 생각을 먼저 소개하고 이 의견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싣든지 그래야 한다. 실사구시하고 곡해하지 말라.
"...정당 뿐만 아니라 유력한 시민단체· 종교단체· 사회단체· 운동단체· 경제단체들이 참여한 민화협은 '민족통일'이라는 추상적인 대의만 있었을 뿐이다. '어떤 통일인가'에 대한 내용이 될 수 있는 이념은 전혀 드러나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민화협은 극우세력부터 급진세력까지를 포괄하였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정부가 주도한 통일세력 내 진보와 보수의 연대는 당시 IMF체제를 경유하고 있던 남한사회의 가장 큰 문제였던 '실질적 민주주의의 후퇴'를 방치하게 했다. 즉 노동자의 희생과 침묵을 강제하는 국가경쟁력 강화 논리와 신자유주의적 경쟁질서에 의한 부의 소수 집중에 대해 통일운동 진영 내 진보세력을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 '통일운동'이란게 원래 이렇게 되는 겁니다. '통일', 즉 국가간 인수/합병 작업을 최종목적으로 하는 이상, 두 국가의 권력에게 미리 한 수 접고 갈 수 밖에 없어지는 거지요... 근본적인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민중이 편히 살 수 있는 한반도라는 게 정말 국가의 머리수와 상관이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어요. 군축회담만 해도 되는 문제가 '남한, 북한 합체'로 뒤바뀌면 더 쉬워지는지 아니면 더 어려워지는지... 좀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닐까 하네요.
민간 통일운동의 체제내화와 실질적 민주주의의 후퇴의 관계를 지적하신 부분이 특히 저로서는 새롭게 느껴집니다. 또 몰려올지 모른다는 불안함이 있지만, 앞으로도 좋은 글 계속 써주시길.
기회주의적인 견해군요.
우리가 이룩하고자 하는 사회주의사회는 완벽한 사회는 아닙니다!
다만, 계급지배가 철폐된 자본주의보다 더 인간적인 사회이죠.
이북은 분명히 사회주의국가입니다!
사회주의국가의 소멸을 전제로한 통일을 이야기하다니요!!
위의 의견은 미 부시와 같은 통일관이고 국내 극우세력의 생각과 같은 통일관이며 기회주의적인 통일관이다.
부시는 이북에 대하여 체제보장을 해준다, 인권문제, 민주주의를 해결하라고 한다. 체제보장이란 무엇인가? 북의 사회주의 체제를 보장해준다는 것이 아니라 북정권이 미국식의 정치제도와 신자유주의 정책을 벌이면 정권의 안정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둘째, 우리민족의 통일 역사를 전혀 모르거나 반영하고 있지 않다. 필자는 분명히 90년대 범민족대회등에 참여한 적이 없는것 같다. 남과 북은 1948년 4월 남북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를 평양에서 가졌으며 미국의 남한단독선거에 반대하는 결의를 하였으며 5월의 단독선거를 파탄내기위한 투쟁을 전개하고 8월까지 인민대표자대의원선거를 남과 북에서 진행하였다. 물론 남에서는 어렵게 비밀선거등이 치뤼졌으나(제주도등은 압도적 다수의 민중이 참여함) 그해 8월 해주에서 전국대의원대회를 진행한 사실이 있다. 위의 남과 북이 45년부터 서로의 경쟁을 하였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전쟁이후에도, 4.19에서 5.16사이의 통일운동, 70년대와 80년대의 통일운동은 대중적이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힘차게 진행되었다. 당국자간의 7.4공동선언도 있었다.
90년대 중반 민화협으로 들어간 패배주의 세력들도 있지만 한총련등은 전혀 흔들리지 않고, 정권에 굴하지 않으며 통일운동의 길을 올바르게 개척하여 왔다. 범민련은 아직도 건재하다. 현재의 통일운동은 교류 사업, 미군철수 사업, 국가보안법 철폐사업등 다양하다. 물론 교류운동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있지만. 또 민주노총등은 범민련에 가입하고 있지 않으며 교류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정권의 체제내화에 참여하는 배신적 행위를 하지 않았다. 90년대 이도 저도 아니고 아예 참석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필자는 통일을 가로막는 세력을 마치 남과 북의 지배세력들이라고 보는것 같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베트남을 보더라도 중국을 보더라도 미국등 제국주의 국가들이 한 귀퉁이를 타고 앉아 통일을 방해하고 전쟁을 부추기고 있었다. 또 해당 민족은 단결된 힘으로 미국을 몰아내었다.
필자에게 묻는다. 통일은 남북 지배층의 소멸로 부터 시작된다고 하였는데 남과 북의 지배층이 통일을 가로막아서 그러한가요?
통일의 대상, 우리가 극복해야할 세력들, 60여년간의 역사등을 잘 알아야 한다. 무조건 사회주의니 남북 지배층의 소멸이니 그러면 안된다.
실력이 없으면 기회주의이다. 무조건 원칙만 앞세워도 기회주의이다.
필자의 통일운동은 부시와 같은 기회주의적 통일관이며 몰역사적인 몰 계급적인 통일관이다.
그리고 편집팀에게 부탁한다.
이를 많이 보는 노동자들이 곡해할 소지가 많으니 통일운동을 오래동안 하여왔던 분들의 생각을 먼저 소개하고 이 의견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싣든지 그래야 한다. 실사구시하고 곡해하지 말라.
공부가 부족하군요. 선군정치나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을 보면 이미
북은 평등에 대한 가치를 포기하고 유사종교적으로 흘러갔는데
굳이 사회주의적이라고 고집하는 이유는 뭔지...
이러니까 북에서 남한의 통일운동세력을 부담스러워하는겁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 획득되지 않은 권리가 '통일국가'에서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따끔합니다.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덧글을 달지 않는 편인데, 웬지 응원을 꼭 보내드려야 될 것 같은... (^^)
"...정당 뿐만 아니라 유력한 시민단체· 종교단체· 사회단체· 운동단체· 경제단체들이 참여한 민화협은 '민족통일'이라는 추상적인 대의만 있었을 뿐이다. '어떤 통일인가'에 대한 내용이 될 수 있는 이념은 전혀 드러나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민화협은 극우세력부터 급진세력까지를 포괄하였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정부가 주도한 통일세력 내 진보와 보수의 연대는 당시 IMF체제를 경유하고 있던 남한사회의 가장 큰 문제였던 '실질적 민주주의의 후퇴'를 방치하게 했다. 즉 노동자의 희생과 침묵을 강제하는 국가경쟁력 강화 논리와 신자유주의적 경쟁질서에 의한 부의 소수 집중에 대해 통일운동 진영 내 진보세력을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 '통일운동'이란게 원래 이렇게 되는 겁니다. '통일', 즉 국가간 인수/합병 작업을 최종목적으로 하는 이상, 두 국가의 권력에게 미리 한 수 접고 갈 수 밖에 없어지는 거지요... 근본적인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민중이 편히 살 수 있는 한반도라는 게 정말 국가의 머리수와 상관이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어요. 군축회담만 해도 되는 문제가 '남한, 북한 합체'로 뒤바뀌면 더 쉬워지는지 아니면 더 어려워지는지... 좀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닐까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