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하에 대한 감정적이지 않은 학술적 비판이 왜 없습니까...얼마나 많은 역사학자, 여성학자들이 이 책을 '학술적'으로 논파했는데요. 그리고 박유하의 책은 단순히 다양한 층위를 살피자는 게 아니라 '위안부와 일본 제국주의가 적대적 관계에만 있던 게 아니다' '일본에는 법적 책임이 없다'는 명확한 정치적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책이고 이건 책에 써있어요. 제발 제국의 위안부와 이에 대해 전문가들이 기고한 숱한 서평들을 몇 개라도 읽어보세요.
그리고 도대체 진보민중언론의 기자가 어떻게 피해자와 연대주체들의 분노를 비이성으로 몰아가고 최소한의 공감을 보여달라는 호소를 '운동 감성'이라고 폄하합니까? 강간을 화간으로, 제국주의의 피해자들을 제국주의의 부역자로, 피해자를 헌신적으로 지원해온 활동가들을 국가주의 정치꾼으로 묘사하는데 "화가 나"지 않으면 그게 더 이상한 것 아닌가요? 노동자들이 조중동, 종편에 분노해서 시위해도 담론을 담론으로 반박하지 않는다며 비이성으로 몰아가실 거에요? 민족주의 비판에 도움이 된다면 2차 가해도 감싸줘야 합니까? 어떻게 피해자 관점이 이렇게 손톱만큼도 없어요?
류한수진님, 그렇게 많은 역사학자, 여성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논파한 것을 본 적이 없네요. 가르쳐 주시면 좋겠습니다. '류한수진'님을 비롯하여 '전문가'들이 '기고한 숱한 서평'을 보면, 박유하의 책을 두고 '일본의 법적 책임이 없다'고 요약해서 박유하가 일본을 면죄하고 있는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이건 악의적인 오독입니다. '범죄(Crime)'와 '죄(Sin)'에 대한 기본적인 구분조차 없는 판단이지요. 책을 다시 읽으실리 없으니 인용해 둡니다. "시스템이 비인륜적이라고 해서 곧바로 그것을 ‘범죄’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법을 만들고 시스템 자체를 바꾸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정해진 규칙에 반하는 행위를 ‘범죄’라고 말한다.위안부를 대상으로 한 강간이나 폭력이 공식적으로는 금지되고 있었으니(『강제 5』, 36쪽), ‘국가’가 그 범죄를 저질렀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시 말해 국가로서의 ‘발상’과 기획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는 있지만, 위안부의 고통이 물리적으로는 업주나 군인에 의한 것인 이상 군인들의 이용을 ‘국가범죄’로 규정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제국,217) 이와 같은 한계를 받아들이며 기존의 일본의 보상의 한계를 지적하고,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 지배했으니 잘못했다고 '국회 결의'(제국,271)를 요구하는 책이 <제국의 위안부>입니다. 피해자들에 대해 제대로 '공감'하시고 그분들의 아픔을 끌어 안으시려면 앞으로의 운동에 <제국의 위안부>를 적극 반영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RISS나 DBPIA, 접속할 여력이 안 된다면 네이버에라도 제국의 위안부 한 번 쳐보세요. 쏟아져나옵니다. 아예 이 책만을 다루는 비판서도 두 권이나 있어요. 왜, 전부 다 오독이라고 하시게요? 읽어는 보셨어요? 이쯤 되면 거의 신앙에 가깝지 않습니까?
제가 보기에는 오히려 님이 박유하에 대한 비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부정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님이 '면죄가 아니다'라며 인용하는 그 문단들조차 위안부가 국가범죄였다는 걸 부인하고 범죄가 아닌 (도의적) 죄만 있다고 주장하고 있잖아요. 그게 바로 일본 국가의 법적 책임을 '면죄'하는 거에요.
그래서 그만 배상이 아니라 원조(아시아평화기금)를 받고 화해를 해줘야 한다는 게 <제국의 위안부>의 주장 아녜요. 체계적 국가범죄로서 위안부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 이런 주장을 수용해서 어쩌라는 겁니까?
더구나 실제 당사자의 목소리를 부정하면서 '자발성'이니 '위안자로서의 긍지' 같은 표상을 피해자들의 경험에 억지로 덧씌우는 것이 어떻게 피해자들에게 공감하는 길이에요? 설마 당사자들이 뭘 잘 모르고 정대협에 휘둘리고 있다는 소리를 하시려고요? 그거 피해당사자에 대한 일종의 혐오인 것 아세요?
화가 난 비판자들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사이가 좋았던 것 같으니 가해자를 단죄하고 처벌하려는 것을 그만두고 화해하라고 말하’고 있다고 <제국의 위안부>를 읽습니다. 안이한 단순화와 왜곡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어요. 화가 나는 게 당연합니다. <제국의 위안부>에서 일본군 병사와 위안부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집에서 건져 올리는 일을 하는 것은 대중적으로 중심화된 서사(‘일본군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성노예’가 되었다’)에 균열을 내고 일본의 책임에 물타기를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일본=가해자’, ‘조선=피해자’라는 단순한 틀만으로는 제국-식민지의 복잡한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을 뿐더러, 일본에 책임을 묻기 위해서라도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렇게 효과적인 서사 구조라고 한다면 20년이 넘도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 리가 없겠지요.
민족적인 시각에 입각한 가해자/피해자의 이항대립의 틀에 대상자들을 밀어 넣는 일은 어디까지나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함입니다. ‘법적 책임’이라는 말이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해 줄 만능 열쇠인 것처럼 이야기들을 하지만, 법이 누구에 의해 만들어지고 누가 빠져나가도록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해요. 법적으로 도망갈 구멍을 다 만들어 놓은 일본제국을 상대로 ‘법적 책임’을 운운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그 긴 시간이 말해주죠. 그리고 가해주체, 피해주체를 명확히 해야만 물을 수 있는 법적인 틀 때문에 순수한 가해자성/피해자성의 틀 안에 들어가지 않는 증언을 어쩔 수 없이 침묵시키는 일이 증언하신 할머니에게 진정한 ‘2차 피해’를 가하는 것은 아닌지 차분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또한 아시아여성기금으로 대표되는 사죄와 보상(‘도의적’, ‘도덕적’, ‘윤리적인 책임’)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고 ‘법적 책임’만을 고집하는 심리에 대해서도 자문하길 바랍니다.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 일본 정부를 ‘법적’으로 굴복시키는 것과 일본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할머니들을 자기들의 전쟁에 ‘수단’으로 써서 미안하다’고 사죄하는 것 중 어느 쪽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받은 영혼을 달래줄 것인지를 말이지요.
그래서 <제국의 위안부>는 말하고 있습니다. 위안부를 일본군 병사와 ‘사이가 좋’을 수 밖에 없도록 비극적인 상황을 만든 것은 일본이 짜놓은 ‘제국-식민지’라는 틀이며, 그런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해 비판해야 일본을 움직일 수 있다고요. 이렇게 식민지 국민들에게 불행과 분열을 가져온 ‘식민지배’의 피해상을 정확히 드러내는 것은 곧 국제적으로 사죄된 적이 없는 식민지주의의 ‘악행’을 명확히 하는 일입니다. 이런 식의 새로운 접근은 지금까지 ‘전쟁’ 배상 문제로만 다루어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었던 한국의 위안부 피해 보상 논의에 숨통을 틔워 줌과 동시에, 조선을 식민지로 삼고 지배하는 기간에 희생당했던 많은 사람들--식민지화 과정에서 진압된 동학군, 수감/살해된 독립운동가들, 관동대지진 당시 살해된 수많은 사람들, 그 밖에 ‘제국 일본’의 정책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투옥되거나 가혹한 고문 끝에 목숨을 잃은 사람들(<제국의 위안부>, 262쪽)에 대해서도 사죄를 요구할 수 있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해서도 ‘다른 전前 ‘제국’ 국가들보다 일본이 한 발 앞서 과거의 식민지화에 대한 반성을 표명’(<제국의 위안부>, 263쪽)함으로써 ‘세계사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 될 테니 책임을 다하라고 얼르는 것이죠. 때로는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는 법입니다.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에 대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1995년 일본 수상의 공식적인 사죄를 담은 ‘무라야마 담화’의 연장선 상에서 발족된 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해, 기금 52억 중 46억 엔 이상, 약 90%를 일본 정부가 지원하고 성실하게 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에 대해 ‘공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애매’한 ‘보상 태도’(이상, <제국의 위안부>, 266쪽)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지요. 그러한 ‘보상 태도’가 일본 국민들의 사죄 의식과 외교관의 지지, 성의 속에서 10년 동안 실시해온 아시아여성기금의 실패를 낳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베 수상은 피해자의 마음을 어떻게 열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실제로 아베 수상은 “20세기는 인권이 세계 각지에서 침해당한 세기였는데,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산케이 신문』, 2007. 4. 27.)라면서 잘못은 일본만 저지른 것이 아니라는 투로 이야기했다. 다른 나라의 ‘책임’까지 환기시키려는 말은 그런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책임 회피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제국의 위안부>, 268쪽)
무엇보다 사태가 이 지경에까지 이른 것은 기금 해산 이후에 일본 정부가 더 이상은 이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는 데에도 원인이 없지 않다. 한국의 일본대사관 앞에서 여전히 데모가 이어졌던 이상 무시로만 일관할 것이 아니라 사태를 타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했다.(<제국의 위안부>, 270쪽)
텍스트를 정확하게 읽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섭얼턴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스피박의 질문을 다시 한번 차분히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자신이 대변하고자 한 위안부 피해자, 혹은 목소리의 경계선 밖으로 새어 나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목소리는 진정 없는지를요. 혹시 있다면 그것은 그렇게 새어 나가버려도 되는지 화를 내기 전에 생각해 보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제국의 위안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텍스트도 정확하게 읽는 것이 중요해요. 그것은 무엇에 분노해야 할지 정확히 알려주고 '비난'이 아닌 '비판'으로 자신을 이끌어줄 테니까요.
박유하에 대한 감정적이지 않은 학술적 비판이 왜 없습니까...얼마나 많은 역사학자, 여성학자들이 이 책을 '학술적'으로 논파했는데요. 그리고 박유하의 책은 단순히 다양한 층위를 살피자는 게 아니라 '위안부와 일본 제국주의가 적대적 관계에만 있던 게 아니다' '일본에는 법적 책임이 없다'는 명확한 정치적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책이고 이건 책에 써있어요. 제발 제국의 위안부와 이에 대해 전문가들이 기고한 숱한 서평들을 몇 개라도 읽어보세요.
그리고 도대체 진보민중언론의 기자가 어떻게 피해자와 연대주체들의 분노를 비이성으로 몰아가고 최소한의 공감을 보여달라는 호소를 '운동 감성'이라고 폄하합니까? 강간을 화간으로, 제국주의의 피해자들을 제국주의의 부역자로, 피해자를 헌신적으로 지원해온 활동가들을 국가주의 정치꾼으로 묘사하는데 "화가 나"지 않으면 그게 더 이상한 것 아닌가요? 노동자들이 조중동, 종편에 분노해서 시위해도 담론을 담론으로 반박하지 않는다며 비이성으로 몰아가실 거에요? 민족주의 비판에 도움이 된다면 2차 가해도 감싸줘야 합니까? 어떻게 피해자 관점이 이렇게 손톱만큼도 없어요?
류한수진님, 그렇게 많은 역사학자, 여성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논파한 것을 본 적이 없네요. 가르쳐 주시면 좋겠습니다. '류한수진'님을 비롯하여 '전문가'들이 '기고한 숱한 서평'을 보면, 박유하의 책을 두고 '일본의 법적 책임이 없다'고 요약해서 박유하가 일본을 면죄하고 있는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이건 악의적인 오독입니다. '범죄(Crime)'와 '죄(Sin)'에 대한 기본적인 구분조차 없는 판단이지요. 책을 다시 읽으실리 없으니 인용해 둡니다. "시스템이 비인륜적이라고 해서 곧바로 그것을 ‘범죄’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법을 만들고 시스템 자체를 바꾸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정해진 규칙에 반하는 행위를 ‘범죄’라고 말한다.위안부를 대상으로 한 강간이나 폭력이 공식적으로는 금지되고 있었으니(『강제 5』, 36쪽), ‘국가’가 그 범죄를 저질렀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시 말해 국가로서의 ‘발상’과 기획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는 있지만, 위안부의 고통이 물리적으로는 업주나 군인에 의한 것인 이상 군인들의 이용을 ‘국가범죄’로 규정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제국,217) 이와 같은 한계를 받아들이며 기존의 일본의 보상의 한계를 지적하고,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 지배했으니 잘못했다고 '국회 결의'(제국,271)를 요구하는 책이 <제국의 위안부>입니다. 피해자들에 대해 제대로 '공감'하시고 그분들의 아픔을 끌어 안으시려면 앞으로의 운동에 <제국의 위안부>를 적극 반영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RISS나 DBPIA, 접속할 여력이 안 된다면 네이버에라도 제국의 위안부 한 번 쳐보세요. 쏟아져나옵니다. 아예 이 책만을 다루는 비판서도 두 권이나 있어요. 왜, 전부 다 오독이라고 하시게요? 읽어는 보셨어요? 이쯤 되면 거의 신앙에 가깝지 않습니까?
제가 보기에는 오히려 님이 박유하에 대한 비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부정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님이 '면죄가 아니다'라며 인용하는 그 문단들조차 위안부가 국가범죄였다는 걸 부인하고 범죄가 아닌 (도의적) 죄만 있다고 주장하고 있잖아요. 그게 바로 일본 국가의 법적 책임을 '면죄'하는 거에요.
그래서 그만 배상이 아니라 원조(아시아평화기금)를 받고 화해를 해줘야 한다는 게 <제국의 위안부>의 주장 아녜요. 체계적 국가범죄로서 위안부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 이런 주장을 수용해서 어쩌라는 겁니까?
더구나 실제 당사자의 목소리를 부정하면서 '자발성'이니 '위안자로서의 긍지' 같은 표상을 피해자들의 경험에 억지로 덧씌우는 것이 어떻게 피해자들에게 공감하는 길이에요? 설마 당사자들이 뭘 잘 모르고 정대협에 휘둘리고 있다는 소리를 하시려고요? 그거 피해당사자에 대한 일종의 혐오인 것 아세요?
얼굴 울그락푸르락 사고정지해서 하던 소리 되풀이하는건 이놈을 특징인가 보네. 그래 네이버에 검색해서 나오는 긍정적인 서평이나 일본 리버얼 측의 평가는 그들이 다 바보여서냐? 하여간 언제가 되면 자기 눈이 비뚤어진 걸 깨달을건지 ..
화가 난 비판자들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사이가 좋았던 것 같으니 가해자를 단죄하고 처벌하려는 것을 그만두고 화해하라고 말하’고 있다고 <제국의 위안부>를 읽습니다. 안이한 단순화와 왜곡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어요. 화가 나는 게 당연합니다. <제국의 위안부>에서 일본군 병사와 위안부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집에서 건져 올리는 일을 하는 것은 대중적으로 중심화된 서사(‘일본군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성노예’가 되었다’)에 균열을 내고 일본의 책임에 물타기를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일본=가해자’, ‘조선=피해자’라는 단순한 틀만으로는 제국-식민지의 복잡한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을 뿐더러, 일본에 책임을 묻기 위해서라도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렇게 효과적인 서사 구조라고 한다면 20년이 넘도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 리가 없겠지요.
민족적인 시각에 입각한 가해자/피해자의 이항대립의 틀에 대상자들을 밀어 넣는 일은 어디까지나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함입니다. ‘법적 책임’이라는 말이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해 줄 만능 열쇠인 것처럼 이야기들을 하지만, 법이 누구에 의해 만들어지고 누가 빠져나가도록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해요. 법적으로 도망갈 구멍을 다 만들어 놓은 일본제국을 상대로 ‘법적 책임’을 운운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그 긴 시간이 말해주죠. 그리고 가해주체, 피해주체를 명확히 해야만 물을 수 있는 법적인 틀 때문에 순수한 가해자성/피해자성의 틀 안에 들어가지 않는 증언을 어쩔 수 없이 침묵시키는 일이 증언하신 할머니에게 진정한 ‘2차 피해’를 가하는 것은 아닌지 차분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또한 아시아여성기금으로 대표되는 사죄와 보상(‘도의적’, ‘도덕적’, ‘윤리적인 책임’)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고 ‘법적 책임’만을 고집하는 심리에 대해서도 자문하길 바랍니다.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 일본 정부를 ‘법적’으로 굴복시키는 것과 일본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할머니들을 자기들의 전쟁에 ‘수단’으로 써서 미안하다’고 사죄하는 것 중 어느 쪽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받은 영혼을 달래줄 것인지를 말이지요.
그래서 <제국의 위안부>는 말하고 있습니다. 위안부를 일본군 병사와 ‘사이가 좋’을 수 밖에 없도록 비극적인 상황을 만든 것은 일본이 짜놓은 ‘제국-식민지’라는 틀이며, 그런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해 비판해야 일본을 움직일 수 있다고요. 이렇게 식민지 국민들에게 불행과 분열을 가져온 ‘식민지배’의 피해상을 정확히 드러내는 것은 곧 국제적으로 사죄된 적이 없는 식민지주의의 ‘악행’을 명확히 하는 일입니다. 이런 식의 새로운 접근은 지금까지 ‘전쟁’ 배상 문제로만 다루어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었던 한국의 위안부 피해 보상 논의에 숨통을 틔워 줌과 동시에, 조선을 식민지로 삼고 지배하는 기간에 희생당했던 많은 사람들--식민지화 과정에서 진압된 동학군, 수감/살해된 독립운동가들, 관동대지진 당시 살해된 수많은 사람들, 그 밖에 ‘제국 일본’의 정책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투옥되거나 가혹한 고문 끝에 목숨을 잃은 사람들(<제국의 위안부>, 262쪽)에 대해서도 사죄를 요구할 수 있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해서도 ‘다른 전前 ‘제국’ 국가들보다 일본이 한 발 앞서 과거의 식민지화에 대한 반성을 표명’(<제국의 위안부>, 263쪽)함으로써 ‘세계사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 될 테니 책임을 다하라고 얼르는 것이죠. 때로는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는 법입니다.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에 대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1995년 일본 수상의 공식적인 사죄를 담은 ‘무라야마 담화’의 연장선 상에서 발족된 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해, 기금 52억 중 46억 엔 이상, 약 90%를 일본 정부가 지원하고 성실하게 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에 대해 ‘공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애매’한 ‘보상 태도’(이상, <제국의 위안부>, 266쪽)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지요. 그러한 ‘보상 태도’가 일본 국민들의 사죄 의식과 외교관의 지지, 성의 속에서 10년 동안 실시해온 아시아여성기금의 실패를 낳았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제국의 위안부>는 아베 수상의 책임 회피성 발언과 일본 정부의 무관심에 대한 비판도 잊지 않는데요. 책을 안 보실 것 같으니 인용을 해드리지요.
그러나 아베 수상은 피해자의 마음을 어떻게 열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실제로 아베 수상은 “20세기는 인권이 세계 각지에서 침해당한 세기였는데,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산케이 신문』, 2007. 4. 27.)라면서 잘못은 일본만 저지른 것이 아니라는 투로 이야기했다. 다른 나라의 ‘책임’까지 환기시키려는 말은 그런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책임 회피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제국의 위안부>, 268쪽)
무엇보다 사태가 이 지경에까지 이른 것은 기금 해산 이후에 일본 정부가 더 이상은 이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는 데에도 원인이 없지 않다. 한국의 일본대사관 앞에서 여전히 데모가 이어졌던 이상 무시로만 일관할 것이 아니라 사태를 타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했다.(<제국의 위안부>, 270쪽)
텍스트를 정확하게 읽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섭얼턴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스피박의 질문을 다시 한번 차분히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자신이 대변하고자 한 위안부 피해자, 혹은 목소리의 경계선 밖으로 새어 나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목소리는 진정 없는지를요. 혹시 있다면 그것은 그렇게 새어 나가버려도 되는지 화를 내기 전에 생각해 보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제국의 위안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텍스트도 정확하게 읽는 것이 중요해요. 그것은 무엇에 분노해야 할지 정확히 알려주고 '비난'이 아닌 '비판'으로 자신을 이끌어줄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