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언론 참세상

원내외 진보정당, 처참한 총선 결과

정의 6석…민중당 1%, 녹색당 0.2%, 노동당0.1%

메뉴보기: 클릭하세요. V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이 21대 총선에서 압승한 가운데, 진보정당은 20대 국회보다 더 초라한 성적표를 들고 물러났다. <참세상>은 정의당, 민중당, 노동당, 녹색당 등 진보정당을 중심으로 이번 총선 결과를 살펴봤다.

정의당에서는 지역구 1명, 비례대표 5명의 국회의원이 당선 확정됐다. 고양갑 심상정 후보는 39.3%의 득표로 이경환 미래통합당 후보(32.7%)를 꺾었다. 이정미 연수을 후보는 18.3%로 3위, 여영국 창원성산 후보는 34.8%로 2위, 윤소하 목포 후보는 11.8%로 3위, 권영국 경주 후보는 11.5%로 4위에 머무르며 낙선했다.

정의당 정당 득표율은 9.67%로 지난 총선 득표율 7.23%보다 2.43%p 올랐다. 정당 득표에 따라 정의당 비례대표 류호정(1번), 장혜영(2번), 강은미(3번), 배진교(4번), 이은주(5번) 후보가 당선권에 올랐다. 당선권 밖으로 밀려난 비례대표 후보는 박창진(6번), 배복주(7번), 양경규(8번) 등이다. 정의당은 정당 투표에서 지난 총선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지역구 선거에서 참패하며 국회 의석수 6석을 ‘현상 유지’했다. 정의당은 지난 총선에서 지역구 2명, 비례대표 4명을 국회로 보낸 바 있다.

정의당을 제외한 진보정당의 성적표는 더욱더 초라하다. 민중당 유일 국회의원 김종훈 울산 동구 후보는 이번 총선에서 2위(33.8%)에 머물러 재선에 실패했다. 동구 당선자는 38.3%의 표를 얻은 미래통합당 권명호 후보다. 민중당 정당 득표율은 1.05%에 그쳤다. 지난 총선 민중연합당 정당 득표율은 0.61%였다. 이로써 이번 총선에서 68명의 후보를 낸 민중당은 국회 의석을 모두 잃게 됐다.

노동당 역시 결과는 처참했다. 지난 총선에서 2위에 올라 주목을 받았던 울산 중구 이향희 후보는 이번에 9.4%(12,149표)로 3위에 머물렀고, 나머지 지역구 후보 울산 동구 하창민(2.4%), 광주 광산구을 이병훈(1.2%)이 낙선했다. 노동당 정당 득표율은 0.12%(34,272표)로 지난 총선(0.38%, 91,705표)보다 더 후퇴했다.

녹색당 정당 득표율은 0.21%(58,861표)다. 지난 총선 때는 0.76%(182,301표)를 얻은 바 있다. 녹색당을 탈당하고 서대문구갑 무소속으로 출마한 신지예 후보는 3.23%(2,916표) 3위로 낙선했다. 녹색당 후보 4명은 전원 비례대표 후보다.

기본소득당 고양시정 신지혜 후보는 1.2%(3위), 은평구을 신민주 후보는 1.8%(4위)에 그쳤다. 기본소득당 대표이자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5번 후보인 용혜인은 첫 국회 입성을 맞이했다.

최근 새롭게 창당한 여성의당은 0.74%(208,697표), 미래당은 0.25%(71,423표)를 얻었다.

한편 노동자 밀집 지역인 울산에서도 진보정당의 성적표는 초라했다. 울산 북구는 민주당이 차지했고, 나머지 5개 선거구는 미래통합당이 가져갔다.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기본소득당, 시대전환 포함)이 180석으로 ‘슈퍼 여당’이 됐고,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은 103석을 차지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는 소수정당의 참여를 높이자는 취지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됐으나, 위성정당 등 꼼수 정치로 ‘거대 양당’ 정치는 더 굳어졌다.
  • 아저씨

    조합주의로 매도할 일인가

    조합주의로의 전면적인 매도는 "노동계"의 구태이다. "노동계"와 군소정당이 성장하는 과정은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사회주의론의 격론으로의 진입이 필연이다.
    누구나 사회주의는 들어봤지만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은 생소하다. 노조를 조합주의의 단면으로만 보는 것은 커다란 우이다.
    오늘날의 "노동계"를 보면서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사회주의는 패배했지만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은 살아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은 이론이 아니라 바로 현실의 노동력과 노조의 존재로 살아있는 것이다. 단지 그것이 맹아이고 국가권력은 아니라는 것이다.

  • 아저씨

    총선-처참할 것은 없다

    이미 외국은 군소정당들이 집권을 경험한 후 굴욕마저 겪었다. 정의당, 노동당, 노동당이 총선에서 약진을 하지 못했다고 하여 이상할 것이 없다. 그들이 집권을 해도 양극화의 사회에서는 권력에서 내려가는 과정 또한 필연이다. 나는 군소정당들이 더 역사적인 고려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이제 군소정당들의 원내진입과 국회를 통한 집권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그렇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단타"가 아니라 역사성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군소정당과 노동운동은 이분화가 되어있다. 서로를 지양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내야 한다.